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24)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원사 3 몸탐정코난 19.07.11 23:27 답글 신고
    아뇨.... 지상에서의 이동은 틸러라는 조종 장치가 있습니다.

    그리고 활주로에 라인업 해서 roll(활주)을 하기 시작 하면 러더(페달)로 미세 조종 합니다.

    러더는 찬다고 표현 하는데, 차면 러더로 동작 하고 끝단을 밟으면 브레이크입니다.

    러더페달의 브레이크는 디퍼렌셜이라 방향 전환할때 틸러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

    길이가 긴 777-300ER 같은 경우는 노즈기어의 방향 전환을 돕기 위해 메인기어의 제일 마지막 바퀴도 노즈기어의 방향과 반대로 약간 조향이 됩니다 ㅎㅎ

    영상에서 가만히 있는 것 같은 이유는 손은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ㅋㅋ 틸러는 조종석 양쪽 옆 아랫쪽에 있어요.

    정식명칭은 “스티어링 틸러” 입니다.
    답글 3
  • 레벨 하사 1 737FO 19.07.15 23:33 답글 신고
    틸러의 개념은 위에서 다 몸탐정코난님이 써주셨고, 항공기는 출발전 관제 기관으로 부터 출항허가를 받습니다.

    예전에는 그 허가를 손님 탑승중에 받았습니다. 선착순이기때문에 최대한 빨리 받아야 빨리 나가니까요

    그런데, 출항허가 받았는데 탑승이 지연되거나 기타 사유로 뱅기가 푸시백(게이트에서 떨어져 후진하는거)가 늦어지면

    다른비행기 출발에도 영향을 주어서 공항 및 항로 점유 순서에 피해를 끼쳐서

    바뀐 절차가 1.탑승 완료후 출입문 닫고, 2. 브릿지 떨어지고 3. 지상조업사들도 푸시백 준비가 끝나면

    즉 완전히 요이땅 출발준비가 되었을때 출항허가를 요청하는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요새는 한술 더떠서 TOBT,TSAT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설명하기

    복잡해서 생략하고요... 결론은 항공사, 항공기 체급에 관계없이 선착순입니다.

    하지만, 간혹 큰 비행기가 먼저 가는경우도 있어요

    예를 들어 동남아 가는 항로는 하나이기때문에 출항허가 득한 순서대로 이륙하는데 같은 항로에도 고도에 따라서 길이 여러개

    있어요. A라는 항로는 하나인데 고도 30000피트, 32000피트, 34000피트, 36000피트 ,38000피트, 40000피트

    이렇게 5차선으로 되어있다고 치죠

    B737 같은 소형기는 동남아까지, 예를들어 방콕이라고 하면 손님 만석에 기름도 가득
    이면 그 항공기가 허용하는 설계상 최대 무게로 이륙해야하기때문에 처음부터 높이 못올라가고 30000피트, 32000피트 34000피트 밖에 선택을 못합니다.

    물론 나중에 연료를 태워서 몸무게가 가벼워지면 더 올라기지만요 (참고로 b737 최대 고도는 41000피트)

    근데, 대형기는 최대 항속거리가 미국까지 갈수있을정도여서 비교적 단거리인 동남아까지 갈때는 연료를 절반밖에 안넣어서, 그 항공기의 최대 이륙중보다 훨씬 가벼운 무게로 이륙하기때문에 처음부터 높은고도를 요청할수 있어서 고도선택의 옵션이 많아서

    출항허가를 빨리 받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30000피트 32000피트 34000피트 다 이미 차버렸고 36000피트 38000피트 40000피트 남았으면 b737은
    그 30000~34000피트 항로 빌때까지 기다리지만, 대형기는 36000피트~40000피트 배정받아 먼저가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건 흔하지 않은경우입니다.

    결론은 선착순입니다.
    답글 3
  • 레벨 원사 3 찬아원이 19.07.11 22:33 답글 신고
    혹시 발로 좌회전 우회전 하는거 아닐까요?
  • 레벨 병장 keon 19.07.11 23:10 답글 신고
    좌우 조정은 발로 합니다.
  • 레벨 대령 3 곰탱이pooh 19.07.12 11:49 답글 신고
    발로 좌우 조종은 러더...수직꼬리날개입니다
  • 레벨 원사 3 몸탐정코난 19.07.11 23:27 답글 신고
    아뇨.... 지상에서의 이동은 틸러라는 조종 장치가 있습니다.

    그리고 활주로에 라인업 해서 roll(활주)을 하기 시작 하면 러더(페달)로 미세 조종 합니다.

    러더는 찬다고 표현 하는데, 차면 러더로 동작 하고 끝단을 밟으면 브레이크입니다.

    러더페달의 브레이크는 디퍼렌셜이라 방향 전환할때 틸러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

    길이가 긴 777-300ER 같은 경우는 노즈기어의 방향 전환을 돕기 위해 메인기어의 제일 마지막 바퀴도 노즈기어의 방향과 반대로 약간 조향이 됩니다 ㅎㅎ

    영상에서 가만히 있는 것 같은 이유는 손은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ㅋㅋ 틸러는 조종석 양쪽 옆 아랫쪽에 있어요.

    정식명칭은 “스티어링 틸러” 입니다.
  • 레벨 원사 3 찬아원이 19.07.12 00:06 답글 신고
    저도 질문요. 명칭은 잘 모르지만 엔진출력시키는거 옆에 점선모양무늬있는 동그란거. 운행중에도 뱅글뱅글 돌아가는거. 그것은 무엇인가요?
  • 레벨 원사 3 몸탐정코난 19.07.12 09:13 신고
    @찬아원이 스로틀레버 옆의동글이는 스태빌라이저 트림 휠이에요.

    트림이 없으면 보잉항공기의 경우는 오토 트림이 안되서 요크(조종간)을 계속 누르거나 당기거나 하고 있어야 합니다. 트림이 그걸 계속 해주는 거구요. 예를 들어 이륙 하고 계속 상승 중인데 요크를 계속 당기고 있어야 하는 경우도 트림을 조절 해서 피치를 올려주면 조종간을 센터에 두더라도 항공기를 상승 시킬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영점조절)

    근데 왜 휠이 휙휙 돌아가느냐? 그건 오토가 자동으로 피치트림을 조절 하고 있어서입니다. 항공기의 스태빌라이저 트림은 모터로 조절 되구요... 해당 기능 Fail 이 되면 수동으로 돌릴수도 있어요.

    737Max 8 의 추락 사고도 이 STS 를 조절 해주는 MCAS 의 오작동이었던 것으로 결론이 나는 것 같습니다. (피치트림을 MCAS가 노즈다운으로 셋팅 해버리면 요크를 아무리 올려도 노즈는 꼬라박죠...)

    그리고 트림 휠이 밖으로 노출 안되어있는 항공기도 있어요.747, 777 같은 경우엔 따로 휠은 없어요. 얘네들은 조종면이 너무 커서 모터 fail 되도 수동 크랭킹 해서 움직이지도 못할듯 하네요.

    트림은 러더, 에일러론 트림도 있지만 피치트림 만큼 자주 사용은 하지 않구요, 러더트림 같은경우는 엔진아웃 상황에서 쓰여지기도 합니다.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레벨 일병 jjhday 19.07.12 00:17 답글 신고
    아 스티어링 틸러라는 것으로 조종하는 거군요. 궁금증 해결 됐습니다.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레벨 원사 3 한천검 19.07.12 12:27 답글 신고
    https://www.youtube.com/watch?v=Mv2hdW44Wyk

    유튭 검색하면 영상으로 설명이 나오죠 ㅎㅎ
  • 레벨 대령 3 다시칸 19.07.13 19:15 답글 신고
    다른 얘기지만,제주항공으로 태국에서 인천올때,착륙하고도 한참을 이동해서 도킹(용어모름ㅎ)하던데..혹시 저가항공사라 착륙하고도 멀리 이동하는건가요??아님 그때그때 다른가요??~
    그 이동하는게 조금은 멀미날것 같더라구요 ㅎ
  • 레벨 원사 3 찬아원이 19.07.13 21:54 답글 신고
    프라하에서 프랑스 드골공항가는데 프라하에서 이미 큰비행기 먼저보내느라고 40분늦게 출발. 기장 열라 밣드만. 난기류에서도 속도안줄이고. 토하는줄 알았음. 드골공항에서 착륙해서 게이트까지 거의 15분을 감. 터미널에서 영어로 내이름 부르면서 찾음. 열라 뜀. 에어프랑스777ㅡ300 나 타고 문닫고 자리에 앉기도 전에 후진 출발. 인천오니 짐이 안옴. 다음비행기 대한항공으로 짐이옴.
  • 레벨 대령 3 다시칸 19.07.14 13:59 신고
    @찬아원이 내용으로보면,우선순위가 있나보군요
  • 레벨 원사 3 몸탐정코난 19.07.14 21:00 신고
    @찬아원이 모든 서비스는 요청 순서대로 입니다. 다만 터미널및 게이트의 경우는 지정 되어있는 경우가 많구요.(외국 공항들인 경우 특히 더) 그래서 착륙 또는 이륙 하는 활주로 및 방향에 따라 멀리 이동할수도 가깝게 이동할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빠듯 한 경우엔 가까운 활주로로 배정 요청을 하는 경우도 보긴 했습니다. 대형기이고 FSC 라고 소형기나 LCC 보다 우선권이 있는 것은 절대 아니구요. 대형기 보내느라 늦은게 아니라 그날 이륙 순서대로 모조리 딜레이였거나, 계획된 항로상 트래픽이 밀리면 의도적으로 공항에서 이륙을 미루는 경우(항적 분리를 위해) 도 있고, 도착 공항의 기상 영향 등 고려할게 많아서 그럴겁니다. 그리고 큰 공항들은 택싱 자체가 아주 긴 경우도 발생 합니다.
    인천은 양호한 편이구요...ㅎㅎㅎ

    결론은 특별한 우선 순위는 없어요. First come First Serve 가 원칙 입니다. 단 하나 우선 순위는 이머전시일때 입니다.

    그럴땐 항로 비우고, 활주로 비우고 이머전시 디클레어 한 항공기를 우선 착륙 시키는 경우는 있어요...

    다 내 팔자거니 하시면 됩니다.
  • 레벨 일병 kyledivine 19.07.15 07:42 답글 신고
    항공사마다 사용하는 게이트가 대략 정해져있습니다 ㅎㅎ 한참을 택시하셨다면 아마 인천공항같은 경우는 활주로를 여객터미널에서 먼쪽방향으로 착륙하고 활주로 횡당 대기 및 다른 항공기를 위해 대기하거나 아마 복합적인 상황이 있었던것같습니다
  • 레벨 대령 3 다시칸 19.07.15 13:33 답글 신고
    그렇군요~ㅎㅎ
  • 레벨 중위 2 앙GiMoJji 19.07.15 15:29 답글 신고
    인천도 T1,T2 나눠져있고 그에따른 항공사 이동이 있어서 32L/R 33L/R 이렇게 있다보니 먼쪽으로 내리고 반대편으로 내린상황이면 대충10~15분은 택싱하게됩니다.

    발판을 밟아서 움직이구요.
  • 레벨 원사 3 몸탐정코난 19.07.15 15:42 답글 신고
    32L/14R, 32R/14L은 김포에요 ㅎㅎ

    인천은
    33L/15R
    33R/15L
    34/16
    이렇게 운용 중입니다 ㅎ
    34/16의 pair 활주로는 현재 건설 중이구요.

    T1, T2, 탑승동 으로 나누시면 됩니다.
  • 레벨 중위 2 앙GiMoJji 19.07.17 16:16 신고
    @몸탐정코난 아/..그러네 맞네 감사요
  • 레벨 원사 3 찬아원이 19.07.15 23:09 답글 신고
    코난님은 직업이?
  • 레벨 원사 3 몸탐정코난 19.07.16 10:16 답글 신고
    저요... 파일럿이 인생 목표였지만 지금은 그냥 외국계 회사다니는 월급쟁이에요.

    플심만 20년 돌린 방구석 파일럿이고요 ㅋㅋㅋ

    요즘은 진짜 시뮬레이터도 가끔 타기도 합니다 ㅎ
  • 레벨 중위 2 앙GiMoJji 19.07.17 16:17 신고
    @몸탐정코난 저도 플심 04 유저입니다. ㅎㅎ 05~06년도에 구입해서 아직도 비행하곤 하죠 ㅎㅎ
  • 레벨 하사 1 737FO 19.07.15 23:33 답글 신고
    틸러의 개념은 위에서 다 몸탐정코난님이 써주셨고, 항공기는 출발전 관제 기관으로 부터 출항허가를 받습니다.

    예전에는 그 허가를 손님 탑승중에 받았습니다. 선착순이기때문에 최대한 빨리 받아야 빨리 나가니까요

    그런데, 출항허가 받았는데 탑승이 지연되거나 기타 사유로 뱅기가 푸시백(게이트에서 떨어져 후진하는거)가 늦어지면

    다른비행기 출발에도 영향을 주어서 공항 및 항로 점유 순서에 피해를 끼쳐서

    바뀐 절차가 1.탑승 완료후 출입문 닫고, 2. 브릿지 떨어지고 3. 지상조업사들도 푸시백 준비가 끝나면

    즉 완전히 요이땅 출발준비가 되었을때 출항허가를 요청하는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요새는 한술 더떠서 TOBT,TSAT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설명하기

    복잡해서 생략하고요... 결론은 항공사, 항공기 체급에 관계없이 선착순입니다.

    하지만, 간혹 큰 비행기가 먼저 가는경우도 있어요

    예를 들어 동남아 가는 항로는 하나이기때문에 출항허가 득한 순서대로 이륙하는데 같은 항로에도 고도에 따라서 길이 여러개

    있어요. A라는 항로는 하나인데 고도 30000피트, 32000피트, 34000피트, 36000피트 ,38000피트, 40000피트

    이렇게 5차선으로 되어있다고 치죠

    B737 같은 소형기는 동남아까지, 예를들어 방콕이라고 하면 손님 만석에 기름도 가득
    이면 그 항공기가 허용하는 설계상 최대 무게로 이륙해야하기때문에 처음부터 높이 못올라가고 30000피트, 32000피트 34000피트 밖에 선택을 못합니다.

    물론 나중에 연료를 태워서 몸무게가 가벼워지면 더 올라기지만요 (참고로 b737 최대 고도는 41000피트)

    근데, 대형기는 최대 항속거리가 미국까지 갈수있을정도여서 비교적 단거리인 동남아까지 갈때는 연료를 절반밖에 안넣어서, 그 항공기의 최대 이륙중보다 훨씬 가벼운 무게로 이륙하기때문에 처음부터 높은고도를 요청할수 있어서 고도선택의 옵션이 많아서

    출항허가를 빨리 받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30000피트 32000피트 34000피트 다 이미 차버렸고 36000피트 38000피트 40000피트 남았으면 b737은
    그 30000~34000피트 항로 빌때까지 기다리지만, 대형기는 36000피트~40000피트 배정받아 먼저가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건 흔하지 않은경우입니다.

    결론은 선착순입니다.
  • 레벨 원사 3 찬아원이 19.07.16 00:39 답글 신고
    에어라인 커맨더 게임을 다 끝내고. 하면서 유튜브나 블로그로 잡상식을 동냥하다보면. 정말 현재 최고의 괴학 집약체는 비행기라고 생각합니다. 한동안 기차에 관심있었는데 요즘은 비행기네요. 직업은 음악인이지만 다시 태어니면 정말 기장을 해보고싶어요. 관제탑에서 근무하는 사람들도 대단하고. 정말 공항은 복잡하군요.
  • 레벨 중위 1 배털도사 19.07.17 17:49 답글 신고
    진짜! 파일럿님이 나타나셨다~~^^
    요즘 사진좀 올려주세요!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