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23)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원사 3 사발이330 02/09 09:50 답글 신고
    제 짧은 경험으로는...(SSR 두번, 니즈유로크로스 사용 경험)
    1.초반 가속력 차이가 있습니다.(300마력 이하의 차랴이라면...)
    2.득은 핸들 움직임이 가벼워 집니다. 실은 노면을 좀 많이 탑니다.
    또한 경량 단조휠은 충격에 의해 휘어짐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연비는 사알짝 좋아 집니다.(같은 폭의 타이어를 사용할때...)
    결론은 경량 단조휠로 갈때는 비싼거 써야한다는 겁니다. 슈퍼레제라라면 추천입니다.
    휠청소 하시려면 세정제를 사용하셔야 할듯...ㅋ
  • 레벨 병장 에이쓰리 02/09 09:53 답글 신고
    흠...생각보다 득이 많네요. 그냥 디자인 측면에서 하려면 카피휠 하려구 했는데 경량휠이기 때문에 강성이 어느정도 인정된 제품으로 했죠. 한가지 아쉬운점은 핸들링이 가벼워진다는것에 조금...;;; 전 지금도 가벼워서 맘에 안들어요. ^^; 묵직한 핸들링이 좋다능...;;; 아무튼 답변 감사드립니다.
  • 레벨 병장 650rpm 02/09 10:12 답글 신고
    고속 항속이라면 경량휠이 연비에 불리합니다.

    강성, 고속연비, (순정대비 강한 엔진브레이크) 빼고는 모든면에서 경량휠이 유리합니다.
  • 레벨 소위 2 뽕가 02/09 09:56 답글 신고
    안녕하세요?
    저도 슈퍼레제라가 울트라레제라보다 이쁘더라구요 ㅎ

    1. 16kg 정도의 구동계의 경량화는 약 160kg 이상의 감량 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반 가속력에는 무척 도움이 됩니다. (가속력저하는 타이어폭 > 타이어무게 > 휠무게)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고.. 동일한 타이어폭에서는 훨씬더 좋은 초반 가속력을 느낄수
    있으실겁니다.

    2. 득은 위의 가속력과 연비가 되겠구요. 실은 중, 고속에서는 관성력이 줄기 때문에
    자주 악셀을 밟아주셔야 된다는점.. 하지만.. 고속으로 올라가도 좀더 가벼운 가속력을
    느낄수 있으실겁니다. 또한, 실은.. 아무리 고가의 정품휠이라고 해도.. 경량휠 특성상
    강성이 약합니다.

    3. 연비도 당근 도움이 되겠지요. 특히나 시내 구간에서는요.
    참고로 5만원 주유시 9키로 휠에서 10키로 휠로 가면. 30~50km 정도 덜 가더군요.

    인치업시 인치가 늘어남에 따른 가속력 저하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지만..
    같은 인치에 타이어폭이 동일한 상태에서 휠의 무게가 16kg이나 줄어든다면..
    혹은 타이어폭이 10mm 정도 늘어나도 분명 실보단 득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타이어도 구글 영문 검색하시면.. 왠만하면 무게가 파운드로 나옵니다. 잘 비교하셔서
    골라보세요. ^^
    참고로 미쉐린이 동일한 사이즈의 한타나 금호보다 1파운드 정도 (0.45kg) 가볍더군요.

  • 레벨 병장 에이쓰리 02/09 10:02 답글 신고
    감사합니다. 타이어는 동일하게 225-40-18 사이즈 그대로 사용할거구요. 정말 휠만 교환한다구 생각하심 됩니다. 160kg...엄청나네요. ㅋㅋ 초반가속력 기대됩니다. 그렇지만 그것두 이틀이면 적응되겠죠? ^^ 세심한 답변 감사합니다.
  • 레벨 소위 2 뽕가 02/09 10:41 답글 신고
    헉.. 차량이 A3 2.0T 셨군요.
    경량휠까지 하면 날라다니겠네요 ^^
    아래 진실은 너머에 말씀대로.. 순정휠이나, 경량휠이나.. 사실 풀악셀로 달려보면
    생각보다 그리 차이는 안납니다.
    하지만 경량휠끼고 몰아보면.. 체감상 가볍게 치고 나가고, 운전하는 재미가 더 좋아
    지실거 같네요. 연비도 도움이 되구요. 다만 가볍게 나가면.. 아무래도 더 밟게되니
    문제죠.
    저도 조만간 경량휠로 가려구요 ^^
    안전운행하세요~~
  • 레벨 원사 3 매뉴얼 02/09 11:36 답글 신고
    10배 감량의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는 이미 전문가들 사이에서 아닌걸로 알고 있는 겁니다. 잘못 알려진 내용이구요...
    줄어든 무게보다 약간더 감량되신 효과로 보시면 되구요..
    그보다 휠이 노면을 더 잘 읽게되어 길이 좋지 않은곳에서 반발력이 빨라져서 접지력이 좋아지는 효과가 조금 있고.. 위 글처럼 고속항속에서는 별 잇점이 없죠.
    그냥 초반출발이 약간 가벼워진 느낌과 휠의 반응이 빨라진다는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 레벨 소위 2 뽕가 02/09 11:45 답글 신고
    저도 들은 이야기이지만..
    매뉴얼님 말씀처럼.. 잘못 알려진 이야기라고들 하시는분들이 계시더군요.
    원래는 구동계 무게가 늘어나면 1kg당 10~15kg 정도의 차체 무게가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인데.. 그게 꺼꾸로 퍼진거라고 하더군요.
    그게 무슨 차이인지는 저도 모르겠어요 ㅎㅎ
  • 레벨 상사 2 650Orpm 02/09 21:33 답글 신고
    휠 중량 1키로는 차체 감량 10배?의 효과가 있다고 떠돌던 속설은 차량 무게가 감소된다는게 아닙니다. 축 하중? 서스펜션 아래쪽이 감량되면서 지면의 정보를 읽고 서스펜션이 반응하는 (저 밑에 로드홀딩이라 말씀해주셨네요) 속도 자체가 차체 무게 중량 10배를 감량하는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동력성능으로만 따지면 비싼 경량휠을 해도 결국 차체무게를 줄인 효과와 비슷하다는 겁니다.

    그리고 휠 무게 1키로가 차체 무게 10키로 감량 효과가 있다고 하는건 일본 경량휠 제조업체들이 (volk나 뭐 유명 브렌드겠죠) 마케팅에 사용한 것이라는군요. 속지맙시다.
  • 레벨 소위 2 LMooN 02/09 10:16 답글 신고
    단점이라면 주위의타는이들의 말로는 사고시나 타이어 충격시에 휠대파로 새로 사야하고
    사제휠을 껴서인지 뽀다구 나지만 관리 못하면 순정보다 못하다고함(스크래치나 돌튐으로) 관리해주어야함
  • 레벨 병장 에이쓰리 02/09 10:33 답글 신고
    저는 세차할때두 휠은 닦지 않습니다. 정말 귀찮더라구요. 그냥 물만 뿌리고 말리는 정도구요. 사고에 조심해야겠어요. ^^ 이제 단종되서 나오지두 않는휠인데...ㅜㅜ
  • 레벨 상병 진실은저너머에 02/09 10:36 답글 신고
    다른것보다 휠강성이 제일로 중요합니다.
    경량휠해도 드래그하면 1대 차이정도도 날려나 모르겠네요.
    로드홀딩은 무거운 휠이 더 나을겁니다.
    그럼.
  • 레벨 병장 650rpm 02/09 10:56 답글 신고
    로드 홀딩은 서스펜션이 감당하기 편한 경량휠이 훨씬 좋습니다.
  • 레벨 병장 에이쓰리 02/09 10:59 답글 신고
    로드 홀딩이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오즈휠 강성은 어떤가요? ^^ 암튼 결정했으니 체험해봐야죠. 매우 기대됩니다. 그리고 뽕가님. A3 2.0T 맞습니다. 정말 날라다닐까요? 잘 나가긴 하는것 같은데 초반에 매우 굼뜹니다. ㅋㅋㅋ
  • 레벨 일병 타격가 02/09 12:01 답글 신고
    경량휠 가격대가 어떻게 하나요
  • 레벨 소위 2 뽕가 02/09 12:05 답글 신고
    경량휠 정품은 보통 17인치는 30만원대~ 18인치는 40~50만원대 (짝당) 이구요.
    요즘은 국산 제품도 나왔습니다. 10만원 중,후반대 정도 되구요.
    (마르##, GT-01, RS-V 국산 등..)

    무게는 경량휠 정품이나 일부 국산 일명 짝퉁휠이나 비슷하지만..
    강성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얼마나 마##로 제품이 주행중 충격에 찌그러지지 않고 깨져서 말들이 많았죠.
    제가 볼때 타격가님은 얼릉 타이어 좋은 가격에 처분하시고..
    17인치 경량이나..18인치 경량에 215-55-17타이어나.. 225-45-18 타이어 끼우심을
    추천합니다.
    17인치 경량에 215-55-17이면.. 순정 16인치 휠,타이어 대비 약간 주행이 가벼워지고요.
    18인치 경량에 225-45-18이면.. 순정보다 약간 무거워지는 대신.. 코너링이 안정될겁니다.

    17인치 경량 고르실거면 8키로 초반정도 되는거.. 18인치 고르실거면 8키로 후반..
    타이어는 215-55-17이 모델에 따라 다르지만 16인치 순정 타이어와 비슷하고..
    225-45-18은 모델에 따라 215-55-17과 비슷하거나 0.5kg 정도 가볍습니다.

    사실 17인치도 나중에 보면.. 안이뻐보이거든요 ㅡ.ㅡ;;
    가시는 김에 18인치 경량으로 (8J +35~38정도 18인치 8키로 후반대) 가시고..
    타이어 좋은넘으로 끼우세요.
    18인치가 무리이다 싶으시면.. 17인치 국산 휠 9키로 초반대 (경량휠이라 보긴 힘듬)
    많습니다.
    림있는 제품이 끼우면 이뻐요~ (대신 림 있는건 경량이 거의 없어요~)

    그리고 업체에서는 처분할라고.. 대충 추천해줍니다.
    전륜차량은 왠만하면.. 앞뒤 림폭 다르게 하진 마시고.. 다르게 하시더라도..
    타이어는 같은 사이즈 끼우세요~
    핸드링 감각도 둔해지고.. 성향도 바뀝니다. (당근 안좋은 쪽으로..)

    하체는.. 서스펜션 튜닝도 그렇고.. 타이어나.. 인치업도 그렇고.. 개인마다 성향이
    많이 다릅니다..
    왠만하시면.. 동호회 참석하셔서.. 시승해보시고.. 고르세요.
    그리고 18인치 인치업은 승차감 많이 안좋아지니.. 감안하시구요.
    전 하체 중복포함 투자만 700 ㅡ.ㅡ;; NF에 뭐하는 짓인지 ㅎㅎ
  • 레벨 원사 3 매뉴얼 02/09 12:15 답글 신고
    사실 초경량휠중에 강성좋은휠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정품이고 한짝이 100만원씩해도.
    하지만 일반 알휠들이 다 강성이 좋은건 아닙니다. 무슨말인지 아시죠?
    중국산 짝퉁휠.... 문제 많구요... 대만산이나 국산의 경우는 정품에 OEM납품도 하죠.. 고로 제품에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꽤 좋은 제품이 많습니다.
    또 놓치기 쉬운것중에 강성과 무게만 보는데... 밸런스 참 중요합니다. 몇년전 싼맛에 중국산 카피휠 끼웠다가 밸런스 안나와서 무쟈게 고생했었습니다.
  • 레벨 일병 不사파 02/09 12:34 답글 신고
    위에 잘 설명해주셨는데 한가지 더 첨언하면... 브레이킹도 좋아집니다.

    경량에 따른 회전관성의 저하로 인하여 평상시의 브레이킹보다도 제동거리가 조금 줄어듭니다.

    경량휠이 여러가지 잇점들이 많지만 비싸다는게 단점이겠요.
  • 레벨 병장 에이쓰리 02/09 12:58 답글 신고
    안그래두 순정 브레이크 넘 밀린다 싶었는데 듣던 중 반가운 소식이네요. ㅋㅋ 브레이크 패드를 EBC로 교환했더니 저속에서 정차할때 귀신 신나라 까먹는 소리만 나길래 다시 순정으로 돌렸습니다. 빅 브레이크가 답인가요? ㅜㅜ
  • 레벨 대령 1 에이버 02/09 13:38 답글 신고
    뉴A3 관심가던차종중 하난데... 초반에 굼뜨나요???
    동호회가보니까 실제 달려보면 공차중량이 많아도 골프GTI랑 똑같이 나간다던데...
  • 레벨 하사 1 쿠아트로 02/09 17:47 답글 신고
    gti랑 같은 엔진을 씁니다 ^^
    gti랑 드래그같은거나 그외비슷비슷하다는대 서스펜션에서 gti와 약간 차이가 있더라고
    하더군요
  • 레벨 준장 f24s미소님 02/09 18:41 답글 신고
    분명 스타트할때 가벼운게 있습니다
    군대 훈련소때 처음 입소해서 전투확신고댕기다가 활동화 첨 신었을때 그런기분??ㅋㅋ
  • 레벨 상사 2 650Orpm 02/09 21:42 답글 신고
    ㅎㅎ 아무래도 경향휠이면 관성의 법칙이 작게 작용하겠지만 그 비싼 경향휠을 할 돈이면 차체 경량화하는 것이 훨씬 큰 효용이 있겠죠~~

덧글입력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